홈플러스, 전사 비상체제 돌입…“인가 전 M&A 실패 땐 회생 위태”
작성자 : 픽틈 경제·산업팀 | 작성일 : 8월 14일
홈플러스가 인가 전 인수합병(M&A) 성사를 위해 전사적인 긴급 생존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회생절차 개시 5개월이 지났지만 경영환경이 악화되면서 자금 압박이 심화된 것이 배경이다.
“절체절명의 위기…생존경영 돌입”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전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인가 전 M&A를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며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최후의 생존경영에 돌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자금 압박 가중…협력사 거래 조건 악화
회사는 회생절차 개시 이후에도 정상 영업과 전 임직원 고용 유지, 납품대금 지급을 이어왔지만, 신뢰도 하락으로 일부 대형 협력사들이 정산주기를 단축하고 거래한도를 축소하는 사례가 늘었다. 선지급 및 신규 보증금 요구까지 겹치며 현금 흐름이 악화됐다.
특히 7월 전 국민 대상 민생지원금 사용처에서 대형마트가 제외되면서 매출 감소폭이 확대, 외부 차입이 어려운 회생기업 특성상 자금 유동성 위기가 심화됐다.
전면 자구책 시행
- 임대료 조정이 불발된 15개 점포 순차 폐점
- 본사 임직원 무급휴직제도 시행
- 임원 급여 일부 반납 조치 지속
홈플러스는 거래 안정성 회복을 위해 협력사와의 정산 주기 정상화, 거래한도 확대, 보증금·선지급 조건 조정을 촉구했다.
“민생·고용 안정과 직결된 위기”
홈플러스는 이번 사태를 단순한 기업 경영 문제가 아닌 민생경제와 고용안정에 직결된 사안으로 규정하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호소했다. 지난달 말에는 약 2만 2천 명의 임직원과 협력사 직원이 대통령에게 호소문을 전달하기도 했다.
한마음협의회는 “회생절차 장기화는 기업 가치 하락과 회생 가능성 저하로 이어진다”며 인가 전 M&A의 조기 성사를 강조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직원들의 헌신과 고객 성원이 회생의 원동력”이라며 “반드시 회생을 성공시켜 일터를 지켜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