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가능 시간 24시간으로 확대…흔적은 남긴다

작성자 : 픽틈 IT·테크팀 | 작성일 : 8월 13일

카카오가 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가능 시간을 기존 5분에서 24시간으로 늘리고, 삭제자를 알 수 없도록 개선했다. 다만 대화창에는 여전히 ‘메시지가 삭제되었습니다’라는 문구가 남아 이용자들 사이에서 찬반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삭제 가능 시간 5분 → 24시간…삭제자 식별도 불가

이번 업데이트(카카오톡 25.7.0 버전)로 하루 안에 보낸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이모티콘 등 모든 유형의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기존에는 발송 후 5분 이내만 삭제가 가능했다. 또한 과거처럼 발신자 말풍선에 흔적이 남는 방식이 아니라, 대화 피드 전체에 ‘메시지가 삭제되었습니다’라는 문구만 표시돼 삭제자를 특정할 수 없다.

이용자 반응, “편리해졌다” vs “흔적도 없애달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민망한 실수를 고칠 여유가 생겼다”는 긍정적 평가가 많았다. 하지만 “흔적도 안 보이게 해달라”는 불만도 제기됐다. 일부는 “삭제 여부는 상대방이 알아야 한다”는 의견을 내며 반대 입장을 보였다.

법적 우려 vs 서비스 철학

일각에서는 흔적 없는 삭제가 범죄 수사나 분쟁 증거 확보를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그러나 법조계 전문가들은 “포렌식 기술로 메시지 송신 여부는 확인 가능한 경우가 많다”며, 카카오톡의 본질은 사적 대화 도구임을 강조했다.

카카오는 삭제 흔적을 남기는 이유를 ‘법적 의무’가 아닌 ‘서비스 철학’으로 설명했다. 오프라인 대화처럼 한 번 한 말을 완전히 없애지 않는 것이 원칙이며, 2018년 도입된 삭제 기능 역시 발송 실수 보완을 위한 부분적 장치라는 입장이다.

흔적 없는 삭제 계획은 “없다”

카카오는 내부적으로 흔적 없는 삭제 방안을 검토했으나, 현재로서는 도입 계획이 없다. 관계자는 “삭제 흔적은 유지하면서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기능은 기기와 운영체제(OS)별로 순차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