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씨소프트,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선정…국내 대표 AI 기업 도약
엔씨소프트(NC)가 수년간의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끝에 국내 대표 AI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며 주목받고 있다. 게임 개발 전반에 AI를 도입한 NC는 최근 정부 주도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선정되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 프로젝트 선정, K-AI 기업 도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참여 기업으로 NC AI를 포함한 5개 기업군을 선정했다. NC AI는 이르면 8월 초 정부와 협약을 맺고 200B급 독자 LLM 개발에 착수하며, ‘K-AI 모델’, ‘K-AI 기업’이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할 권한도 얻게 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ETRI, 고려대, KAIST 등 학계 및 연구기관과 포스코DX, NHN 등 40여 개 수요기업이 참여하는 54개 기관 대규모 컨소시엄으로 진행되며, 한국 AI 주권 확보라는 원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바르코(VARCO)로 게임 개발 혁신
엔씨소프트는 자체 개발한 대규모 언어모델(LLM) ‘바르코(VARCO)’를 통해 게임 제작 과정 전반에 AI를 적용하고 있다. 텍스트, 이미지, 3D, 오디오 등 리소스 제작을 AI가 주도하며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특히 3D 이미지 생성 및 인게임 콘텐츠 제작에서 AI 기술을 도입해 국내 게임개발 환경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에는 업그레이드 버전인 VARCO VISION 2.0을 공개하며 영어, 한국어뿐 아니라 일본어와 중국어까지 지원하고, 복잡한 문서·표·차트까지 분석 가능한 수준으로 기술력을 확장했다.
버티컬 AI로 산업 전반 확장
NC AI는 멀티모달 데이터와 산업별 도메인 지식을 결합한 버티컬 AI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패션 산업: ‘NC AI 아트 패션’ 솔루션을 통해 의류 이미지, 모델 착용 이미지, 마케팅 콘텐츠를 자동 생성. MLB·디스커버리 등 주요 패션 브랜드가 도입.
- 커머스: 실시간 다국어 번역 및 상품 이미지 속 텍스트 자동 현지화, 상품 태그 기반 콘셉트 이미지 자동 생성 기능 제공.
- 미디어·콘텐츠: 영상 립싱크 자동화 기술 ‘VARCO SyncFace’ 상용화를 앞두고 있으며, 영상 제작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전망.
이처럼 엔씨소프트는 게임을 넘어 산업 전반에 AI를 적용하며 ‘게임사’의 한계를 넘어 ‘글로벌 AI 기업’으로 도약을 준비 중이다.
작성자 : 픽틈 IT·테크팀 , 작성일 : 8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