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실시간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본격 출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월 30일 제37차 신기술·서비스 심의위원회를 통해 실증특례로 지정된 ‘실시간 통화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공식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실제 보이스피싱 음성을 학습한 인공지능(AI) 모델을 활용해 통화 중 보이스피싱 위험도를 실시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금융사기 전화를 조기에 차단하고 국민의 일상적인 통화 환경에서 사전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존 텍스트 분석 한계 넘어…음성 AI로 정밀 탐지
과거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은 주로 문자나 텍스트를 기반으로 위험 신호를 분석했지만, 이번 서비스는 직접적인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 판별할 수 있어 정확도가 대폭 향상됐다.
특히 국내 최초로 화자인식과 딥보이스(AI 변조 음성) 탐지 기능을 통합한 KT의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2.0’이 적용됐다. 이를 통해 AI가 특정 화자의 음성을 식별하고, 합성·변조된 목소리 여부까지 판별할 수 있다.
규제샌드박스 통한 제도 개선
다만 개인정보보호법상 보이스피싱 음성은 민감정보에 해당해 원칙적으로는 보이스피싱범의 동의 없이는 활용이 불가능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기정통부는 ICT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KT와 국과수에 실증특례를 부여했다.
이 과정에서 과기정통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강화된 안전조치를 마련했으며, 지난 22~25일 합동 현장점검을 통해 특례 이행 여부를 확인했다.
사회문제 해결형 AI 사례
이번 서비스는 누구나 노출될 수 있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신기술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한 대표적인 규제혁신 사례로 평가된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ICT 규제샌드박스는 단순히 신기술 검증을 넘어 사회 문제 해결의 기회를 제공한다”며 “AI와 규제혁신을 통해 국민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실증특례 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보이스피싱 대응 AI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