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바이오틱스란? 프로바이오틱스·프리바이오틱스 차이와 장 건강 효과

작성자: 픽틈 헬스·라이프팀
작성일: 2025년 7월 6일

‘장 건강’ 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대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입니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 뉴트리션 시장에서 주목받는 차세대 키워드는 바로 ‘포스트바이오틱스(Postbiotics)’입니다.

1.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차이

①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유산균, 비피더스균 등 장내 유익균 자체를 섭취하는 것을 말합니다. 장내 환경 개선, 유해균 억제, 면역력 강화 등에 도움을 줍니다.

②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프로바이오틱스가 장내에서 잘 자랄 수 있도록 돕는 유익균의 먹이입니다. 식이섬유, 이눌린, 올리고당 등이 대표적이며, 유익균 증식을 촉진해 장 건강을 유지합니다.

③ 포스트바이오틱스(Postbiotics)

포스트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가 발효·대사 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내는 유익한 대사산물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유익균이 활동한 후 생성되는 최종 산물로, 짧은사슬지방산(SCFA), 펩타이드, 효소, 세포벽 성분 등이 포함됩니다.

2.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장 건강 효과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아직 국내에서는 생소하지만, 다수의 국제학술지에서 다양한 건강 효과가 입증되고 있습니다:

  • 장 점막 강화: 장벽 기능을 강화해 장누수(leaky gut) 예방
  • 항염증 작용: 장내 염증 완화 및 면역 균형 조절
  • 유해균 억제: 병원성 세균의 성장 억제 및 장내 균총 균형 유지
  • 면역력 강화: 장과 연결된 면역계 활성화

특히, 프로바이오틱스는 체내에서 생존과 정착 여부에 따라 효과 차이가 크지만, 포스트바이오틱스는 **이미 생성된 대사산물**을 섭취하기 때문에 **안정성과 작용 예측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글로벌 뉴트리션 트렌드: 포스트바이오틱스의 부상

미국, 유럽, 일본의 기능성 식품 시장에서는 포스트바이오틱스를 ‘3세대 장 건강 솔루션’으로 분류하고, 유산균 발효물, 사균체(heat-killed probiotics), SCFA 성분 등을 함유한 제품 출시가 늘고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 뉴트리션 인사이트(Nutrition Insight) 2025년 보고서에 따르면, 포스트바이오틱스 시장은 연평균 10% 이상 성장하며, **프리바이오틱스 시장 성장률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4. 포스트바이오틱스를 효율적으로 섭취하는 방법

  1. 포스트바이오틱스 함유 기능성 식품 섭취
    유산균 발효물이 포함된 발효유, 사균체 유산균 보충제, 포스트바이오틱스 농축 제품 활용.
  2. 식물성 발효식품 섭취
    김치, 된장, 청국장, 낫토 등 발효 과정에서 유익균 대사산물이 생성되는 식품을 꾸준히 섭취.

5. 마무리

장 건강 관리의 패러다임은 프로바이오틱스 → 프리바이오틱스를 넘어, 이제 포스트바이오틱스(Postbiotics)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유익균을 먹는 것을 넘어서, 유익균이 만들어내는 **‘결과물’의 힘**을 활용해보세요. 작은 선택이 당신의 소화 건강과 면역력, 전반적 웰빙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