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무죄’ 삼성, 이재용 등기이사 복귀와 컨트롤타워 재건 논의 본격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대법원 무죄 판결 이후, 삼성그룹의 미래 경영 구도가 본격적인 전환기를 맞고 있다. 특히 등기이사 복귀와 그룹 컨트롤타워 재건 여부가 다시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열린 정례회의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제는 재판의 굴레에서 벗어난 만큼, 죽기를 각오한 공격적 경영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 필요성을 강조했다.

공식적 책임경영 강조… “등기이사 복귀, 다수 위원이 공감”

이 위원장은 “책임경영 강화를 위해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데 위원 다수가 공감하고 있으며, 저 역시 같은 입장”이라고 밝혔다. 다만 “등기임원 선임은 상법상 주주총회를 통한 절차가 필요하므로, 시기와 방식은 경영진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이재용 회장은 국내 4대 그룹 총수 중 유일한 미등기임원이다. 등기이사는 기업 이사회에 공식 등재돼 법적 책임과 실질적 권한을 갖는 경영자라는 점에서 상징성과 실효성이 크다.

컨트롤타워 논의도 재점화… “국가 산업경쟁력 위해 필요”

이 회장의 무죄 판결 이후 삼성 컨트롤타워 재건 논의에도 불이 붙고 있다. 이 위원장은 “국가경제와 산업경쟁력 측면에서 그룹 차원의 컨트롤타워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방향성에는 동의했다.

그러나 그는 “준법감시위 내부에서도 의견이 쉽게 모이지 않고 복잡한 사안인 만큼, 즉각적인 권고는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이는 삼성의 지배구조 투명성 확보와 전략적 민첩성 간 균형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으로 풀이된다.

“삼성은 국민경제 책임지는 기업…사회적 역할 인식 필요”

이 위원장은 “삼성전자의 개인 주주만 500만 명이 넘는다”면서 “삼성은 이제 국민경제와 직결된 시스템으로, 단순한 민간 기업을 넘어선 공적 책임을 자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 준법감시위는 조만간 이번 논의 결과와 입장을 이재용 회장에게 직접 전달할 방침이다. 그는 “사법부 판단을 존중하며, 빠른 시일 내 입장을 전달해 책임경영과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실행 가능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삼성의 미래 구상, 전환점에 들어서다

이재용 회장의 대법원 무죄는 '사법 리스크' 해소라는 중요한 전환점이다. 이번 논의는 단순한 경영복귀를 넘어서, 삼성의 글로벌 경영체계 재편과 지배구조 혁신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앞으로 등기이사 복귀 시점과 컨트롤타워 구상, 그리고 삼성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삼성 경영철학의 진화를 이끄는 기준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