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내 돈이야!"…민생회복 소비쿠폰 놓고 벌어지는 '가정 내 전쟁'

정부가 7월 21일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하기 시작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예상치 못한 논쟁의 불씨가 되고 있습니다. 바로 가정 내 자녀와 부모 사이에서 벌어지는 '소비권 갈등'입니다.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가구 구성원 1인당 15만~45만원씩 지급되는 형태로, 미성년자일 경우 세대주(보통 부모) 명의로 일괄 수령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자녀 몫'을 누구에게 귀속시키느냐를 놓고 부모와 자녀 간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내 이름으로 들어왔으니까 내 거!”

실제로 온라인 커뮤니티와 네이버 맘카페 등에는 관련 고민 글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한 학부모는 “고등학생 자녀가 '정부가 내 이름으로 준 거니까 당연히 내 돈'이라고 주장한다”며 곤란함을 토로했습니다. 다른 부모는 “중학생 딸이 '그건 내 소비권'이라며 휴대폰 바꾸자고 조른다”며 고개를 저었습니다.

이처럼 자녀가 자신의 이름이 등록된 정부지원금이라는 점을 근거로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용돈 개념' 이상의 갈등으로 번지고 있는 양상입니다.

찬반 갈리는 부모들, “당연히 줘야” vs “학원비로 이미 써”

부모들의 의견은 뚜렷하게 두 갈래로 나뉩니다. 지급을 지지하는 쪽은 “애들 몫으로 나온 거니 주는 게 맞다”, “소비 교육을 할 기회”라고 말합니다. 반면, 반대하는 측은 “어차피 교육비, 식비로 들어가는 돈이다”, “그 돈으로 장난감이나 게임기 사겠다며 떼를 쓰니 더 문제”라며 우려를 표합니다.

“정부가 개인 단위로 준 건데 부모가 일방적으로 관리해도 되는 건가요?” - 중학생 자녀 둔 A씨

“학원비, 교재비로 다 들어갈 돈이에요. 가정이 먼저인데 애들이 너무 권리만 주장하는 게 걱정입니다.” - 고등학생 자녀 둔 B씨

법적·행정적 기준은?

현재 정부는 미성년자에 대해서는 실수령 주체인 세대주에게 지급하고 있으며, 별도의 소비 권한 부여는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는 행정상 일괄 지급 효율성과 관리 문제를 고려한 조치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런 방침이 자녀의 소비 권리 인식과 충돌하며 새로운 갈등 요소로 부상한 셈입니다.

전문가 “재정 교육 기회로 삼을 수도”

가족 심리 전문가들은 이번 소비쿠폰 갈등이 오히려 자녀에게 '소비권과 책임'에 대한 교육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무조건 통제하거나 일방적으로 지급하는 방식보다는, 가족회의 등 대화를 통해 합리적인 소비 계획을 함께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일부 부모들은 “자녀와 함께 소비 예산을 나누고 일정 금액은 용돈으로, 나머지는 가족 공통비로 활용하기로 합의했다”며 긍정적인 사례를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여러분 가정은 어떤 선택을 하셨나요?

정부의 소비 활성화 목적과 달리, 소비쿠폰이 가정 내 심리적 긴장 요인으로 번질 수 있는 상황. 그 어느 때보다도 가족 간의 소통과 합의가 중요한 시점입니다. 여러분 가정은 이 소비권을 어떻게 나누고 계신가요?